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북러 조약, 시대착오적 행동…北도발에 압도적 대응”
“北 오물풍선 살포, 비열하고 비이성적 도발”
“자유가치 공유하는 국가들과 평화 지킬 것”
6‧25전쟁 제74주년 기념행사 대구에서 개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5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제74주년 행사'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북러 신조약)을 체결한 것과 관련해 “역사의 진보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행동이 아닐 수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구 엑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6‧25전쟁 제74주년 행사에서 “(북한은) 지난주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고,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군사, 경제적 협력 강화마저 약속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윤 대통령이 북러 조약과 관련해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우리가 자유와 번영의 길을 달려오는 동안에도, 북한은 퇴행의 길을 고집하며 지구상의 마지막 동토로 남아 있다”며 “주민들의 참혹한 삶은 외면하고 동포들의 인권을 잔인하게 탄압하면서, 정권의 안위에만 골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여전히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며 끊임없이 도발을 획책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오물풍선 살포와 같이 비열하고 비이성적인 도발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맞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우리 국민의 삶을 든든하게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군은 어떠한 경우라도 북한이 대한민국을 감히 넘보지 못하도록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북한의 도발에 압도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70주년을 맞아 더욱 굳건하고 강력해진 한미동맹을 토대로, 자유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하여 우리의 자유와 평화를 더욱 단단하게 지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평화는 말로 지키는 것이 아니다”라며 “강력한 힘과 철통같은 안보태세야말로 나라와 국민을 지키고, 이 땅에 진정한 평화를 이룩하는 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더 강해지고 하나로 똘똘 뭉치면, 자유와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도, 결코 먼 미래만은 아닐 것”이라며 “저는 이야말로 영웅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에 보답하고, 호국의 정신을 제대로 이어가는 일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 땅, 이 바다, 이 하늘을 위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기념행사는 임시수도로서의 상징성과 6·25격전지가 다수 소재한 점을 고려하여 대구광역시에서 처음 개최됐다. 올해부터 지방에 거주하는 6‧25 참전유공자의 정부 행사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광역별 순회 행사로 추진된다.

윤 대통령은 “74년 전 오늘, 1950년 6월 25일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가슴 아픈 한 페이지로 기록돼 있다”며 “모두가 잠든 새벽, 북한 공산군의 기습 남침으로 3일 만에 수도 서울이 함락됐고 온 국토가 폐허가 됐다”고 밝혔다.

이어 “3년간 이어진 전쟁으로, 우리 국군 14만명과 미군을 비롯한 유엔군 4만명이 전사했고, 사망, 학살, 납치, 실종된 우리 국민은 100만에 달했다”며 “북한 정권이, 적화통일의 야욕에 사로잡혀 일으킨 돌이킬 수 없는 참극”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곳 대구는, 전쟁 초기 33일 동안 임시수도로서 대한민국을 지탱했던 곳”이라며 “이후 부산까지 수도를 옮겨야 했고 국토의 90%를 빼앗기기도 했지만 우리는 포기하지 않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달려와 준 유엔군과 함께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했다”며 “이 낙동강 방어선에 대한민국의 자유와 미래가 달려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포항, 칠곡 다부동, 안강, 영천을 비롯하여 대구와 경북 곳곳에서 치열하게 싸웠고, 값진 승리를 거뒀다”며 “이 결정적인 승리는, 대한민국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는 전환점이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키며 우리는 전세를 역전시켰고, 이 땅과 하늘, 그리고 바다에서 북한 공산군을 몰아낼 수 있었다”며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으로 포화가 멈췄을 때, 우리에게 남은 것은 모든 것이 사라진 절망의 국토뿐이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그때도 위대한 우리 국민들은 결코 주저앉지 않았다”며 “피로써 자유 대한민국을 지킨 호국영령들의 뜻을 이어받아, 눈부신 산업화의 기적을 이루어 냈다”고 힘주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참전용사들의 예우와 보훈 문화 확산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과 우리 국민들은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영웅들을 영원히 기억할 것”이라며 “‘자유와 번영의 대한민국’을 더욱 크게 발전시키기 위해, 저와 정부의 모든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6‧25 참전유공자와 정부‧군 주요 인사, 참전국 주한 외교사절 등 1300여명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도 함께 자리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