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12-119신고 통합 ‘한국형 911’ 안 될까?
[헤럴드경제=김기훈 기자] 지난해 7월 20일 울산의 한 원룸에서 20대 자매 2명이 흉기에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숨진 자매 중 언니는 “동생이 흉기에 찔러 피를 흘리고 쓰러져 있다”는 119에 신고했고, 구조대원은 언니 역시 숨진 것을 발견한 후에야 경찰에 신고를 했다. 당시 급박한 상황에서 112와 119 시스템이 통합됐다면, 사건 현장에서 용의자를 검거할 수 있었을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이에 천안 서북경찰서 이종남 경위가 지난해 10월 행정안전부에 정책 제안한 ‘한국형 911시스템’이 눈길을 끈다. 112와 119를 긴밀히 연동해 미국의 911 시스템처럼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게 이 경위 주장의 핵심이다.

이 경위는 우선 112와 119 시스템의 분리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했다. 소방방재청과 경찰청의 동시 출동이 필요한 사안에도 한 기관만 출동하거나, 피해자가 한 기관에 전화를 한 후에 다른 기관에 전화를 해야하는 등 문제가 많다는 것이다.

그는 이 같은 문제에 대해 “기관간 MOU 체결을 통해 동시출동 기준을 마련하고, 경찰이나 소방관 개인 판단에 따른 전화통보 방식을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통보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통합전산 센터를 이용해 즉시 전송 신고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하면 미국의 911 시스템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경위는 “현재 양 기관에서 효율적 신고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공동 대응은 여전히 연결고리가 부족하다”면서 “1분 1초가 급한 상황에서 지연 대응문제를 해결하고 신고 체계의 효율성과 현장 대응력을 높여야 국민 신뢰를 받을 수 있다”며 정책 제안 배경을 밝혔다.

한편 경찰청과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정책 제안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현실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